사 진
|
합 격 수 기
|
▮성 명 : 박 동 열
|
▮주민번호 : 660919 - *******
|
▮근 무 처 : K-water
|
▮직 급 :
|
1. 공부기간 : 8개월
|
2. 응시횟수 : 2회
|
3. 학원등록일 : 2018년 9월
|
4. 나의 경험담 :
|
건축분야 경력이 많아 모르는 것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시작 하였으나 해야 할 공부 양이 생각보다
|
훨씬 많았습니다. 그리고 내가 알고 있었던 것도 부분만 알고 있었던 것들도 많았습니다. 오랜만의 교육임에도
|
교수님의 강의 내용은 스펀지처럼 흡수되어 저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에 충분하였습니다. 1회 시험에
|
합격을 하자 라는 각오로 준비했지만 근소한 점수로 고배를 마시고 1회 시험에서 실수한 부분들을 보완하였습
|
니다. 1회 시험에서 용어의 낮은 점수 때문에 실패하여 용어 공부를 많이 했는데 2회 시험에서는 오히려
|
논술 점수가 1회보다 더 낮았습니다. 평소 로이유리에 대한 지식이 많이 있어 마지막 문제로 30분을 할애하여
|
정말 전문적으로 작성해서 고득점을 기대했는데 38점 득점하였습니다. 점수 보고 가슴 철렁 했습니다. 기술사
|
시험 답안은 기술사스럽게 작성해야 한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습니다.
|
기술사 공부는 단순히 전문 자격증 취득을 넘어서 실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. 높아진 기술수준
|
덕분에 현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했고, 보고서 작성시 구사하는 용어가 다양해졌으며, 문제 해결의 방향이
|
달라졌습니다.
|
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듯이 저는 기술사 시험을 통해 앞으로 새로운 도전의 이정표를 세웠습니다. 기술사
|
시험이 저의 앞날에 용기와 자신감을 부여하는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기에 충분하였다고 생각됩니다.
|
5. 공부방법 :
|
용어 : 386만 공부했습니다. 용어 정의는 보지 않고 쓸 수 있을때까지 반복해서 외웠습니다. 대제목은 모의
|
고사(다른 소장님 답안)에서 30개를 골라 외웠습니다. 시험지에 30개를 적어놓고 문제의 성격에 맞도록 골라서
|
작성했습니다. 외우기만 한 것 보다 대제목 선정이 훨씬 용이했습니다. 교수님도 대제목 GOOD 하였습니다.
|
논술 : 모의고사는 책을 보지 않고 시험을 치렀습니다. 답안 제출하기 민망한 적이 많았지만 뻔뻔함을
|
유지했습니다. 실력 향상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. 다만 2회 시험 전에 모의
|
고사를 소홀히 해서인지 논술 시험이 1회 시험때 보다 힘들었습니다. 그리고 답안도 1회에 비해서 많이 부족
|
했다고 판단됩니다. 1회 논술 점수가 오히려 더 높았습니다. 그래서 확신합니다. 『보지 않고 보면 보인다』
|
6. 권하고 싶은 말 :
|
기술사 공부시 보통 공정 내지는 공종별로 공부합니다. 개인의 바탕지식이 달라 내용을 습득해서 서로 연결하는
|
능력도 다릅니다. 현장 실무 경험이 많지 않은 소장님이라면 기획에서부터 설계, 공사발주, 공사착공, 골조공사
|
마감공사, 준공, 유지관리 순으로 한 동의 건축물을 건설한다고 생각하고, 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항들을 정리
|
한다면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됩니다. 저는 합격 했지만 답안이 완벽하지도 만족스럽지도 않았
|
습니다. 내 답안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이 기술사 시험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라고 생각됩니다.
|